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의 불륜설로 주목받고 있는 니콜 섀너헌은 구글 공동창업자 세르게이 브린의 아내이자, 실리콘밸리에서 이름을 알린 중국계 미국인 여성 기업가다. 미국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시간으로 25일, 섀너헌이 테크 산업계에서 전문성과 영향력을 키워온 인물이라고 전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브린은 섀너헌이 머스크와 혼외 관계를 가졌다는 사실을 알고 이혼을 결심하게 됐다. 브린은 이미 “결혼한 지 3년이 넘었으나, 화해할 수 없는 차이로 인해 이혼을 준비 중”이라고 밝힌 상태다. 이로 인해 섀너헌은 세계 최고 부호 중 두 사람 사이에서 벌어진 삼각관계의 중심 인물로 부각되며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니콜 섀너헌은 지적 재산권(IP) 관련 스타트업 ‘클리어액세스IP(ClearAccessIP)’를 창립한 기업가로, 해당 회사는 특허 소유자가 지식재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개발해왔다. 이 회사는 이후 경쟁사였던 IPwe에 인수되면서 섀너헌은 사업 매각에 성공하게 된다.
사업가로서의 커리어 외에도 그녀는 현재 스탠퍼드대학교 산하 센터인 ‘코드X(CodeX)’에서 변호사이자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며, 법률과 기술의 융합을 연구하고 있다.
그녀의 성장 배경도 주목받고 있다. 중국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섀너헌은 유년 시절 비교적 어려운 환경에서 자랐다. 어머니는 가정부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으며, 가족은 공공 지원 프로그램에 의존해 생활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학업 면에서도 그녀는 뛰어난 성과를 보여줬다. 워싱턴주의 푸제 사운드 대학에서 경제학, 아시아 연구, 중국어를 전공한 뒤, 산타클라라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서 교환학생으로 수학하며 국제적 감각도 갖추게 됐다.
이후 실리콘밸리로 진출한 그녀는 창업을 통해 자신의 입지를 다졌고, 기술과 법률을 융합한 독특한 경력을 쌓아왔다. 그러나 최근 일어난 불륜설로 인해 그녀의 이름은 전 세계 언론에서 회자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사생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섀너헌은 과거 혼전 계약서에서 재산 분할을 요구하지 않기로 서약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약 10억 달러(한화 약 1조 3,100억 원)의 위자료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WSJ 보도에 따르면, 머스크와 섀너헌은 2021년 12월 초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예술 행사 ‘아트 바젤(Art Basel)’에서 처음 만났으며, 그 자리에서 부적절한 관계가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머스크는 캐나다 출신 뮤지션 그라임스와의 결별 직후였다.
한편 브린과 섀너헌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봉쇄 조치와 함께 당시 세 살이었던 딸의 양육 문제로 인해 갈등이 심화되며, 결혼 생활에 위기를 맞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건은 실리콘밸리 최고 인사들 사이에서 벌어진 사적인 스캔들로 번지며, 이들의 비즈니스 활동뿐만 아니라 개인적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